생활정보 / / 2023. 5. 29. 01:31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신청자격, 신청방법, 정부지원액, 중복가입 >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고금리, 고물가, 비싼 집값 등으로 청년들이 열심히 일을 하지만 목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인데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여 자산형성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 정책금융 지원 사업으로 "청년도약계좌"가 6월 출시 예정입니다. 총정리 내용을 살펴보고 준비해서 6월에 함께 신청하러 가요!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수령하는 상품입니다. 특히 이자소득에 대하여 비과세 적용이라는 큰 혜택이 있습니다.

 

  "  본인 납입금 + 정부기여금 + 금융기관 이자 "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기여금 지원

∨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 적용

∨ 매월 70만 원 5년 납입  만기 수령 시 5,000만 원 목돈 마련 !

∨ 70만 원 * 12개월 * 5년 = 4,200만 원 ▶ +  800만 원 ! 

 

2. 신청자격

●  신청대상 : 만 19세 ~ 34세 청년 ( 1989년생~2004년생 ) 

  *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미산입 : 병역이행기간에 따라 만 40세까지 신청 가능

  신청조건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모두 충족

  * 개인소득 6,000~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신청 : 단, 정부기여금 지원 X,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O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3. 신청방법  

 신청방법 : 금융 기관 신청  →  소득 심사  →  유지 심사

 * 현재 금융기관 모집 중 (추후 공고 예정)

 신청기간 : 23년 6월 중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4. 개인납부금액, 정부기여금(정부지원액), 금융기관이자

 정부기여금 : 개인소득과 본인납입금에 따라 비율 책정

 금융기관이자 :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 2년 변동금리 ( *금 리 :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시 예정 )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5. 타 금융정책 상품 중복가입 가능 여부

∨ 가   능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 불가능 : 청년희망적금 ( * 청년희망적금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

 

정부의 금융정책 지원사업이 유용하지만 청년들에게 일정금액을 월마다 납입한다는 것이 부담이 될 때도 있고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하는 등의 사유로 중도해지를 많이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목적이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자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납입금 담보 대출 등 계좌 유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을 위해 한 층 더 개선된 금융정책으로 만날 청년도약계좌 6월에 개시하면 함께 신청해 보아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